[문화마당] 이리의 사냥, 매의 사냥/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문화마당] 이리의 사냥, 매의 사냥/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입력 2022-07-20 20:26
수정 2022-07-21 04: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열두 살 때였다. 까무잡잡한 얼굴에 이가 하얗던 친구 상준이는 전학 가던 날도 환하게 웃으며 다시 만나자고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이사 간 새 아파트의 주소를 알려 주며 놀러 오라 했고, 주소를 또박또박 받아쓴 나는 돌아오는 일요일에 찾아가겠다며 시원스레 초대에 응했다. 반가운 전화를 끊자마자 걱정이 시작됐다.

어지간한 또래 아이들에게 여남은 정류장 떨어진 이웃 마을에 놀러 가는 것은 아무 일도 아니었지만, 그때까지 한 번도 혼자 버스를 타 본 적 없는 얼뜨기는 먼 나라로 긴 여행이라도 떠나는 사람처럼 마음의 준비가 필요했다. 그뿐 아니라 새로 알아야 하는 것도 한둘이 아니었다. 사방에 흩어져 있는 정류장 중 어디에서 버스를 타야 하는지, 몇 번 버스를 타야 하는지, 버스를 타면 몇 정거장 후에 내려야 하는지, 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버스 요금은 얼마인지, 목적지에 내려서는 친구 집까지 어떻게 찾아가야 하는지….

모든 것이 다 사람에게 물어야 알 수 있는 것들이었다. 생각날 때마다 부모에게 묻고, 형에게 묻고, 누나에게 물어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쪽지에 적고 머릿속에 외웠지만 불안한 마음이 가시지 않아 버스를 타자마자 기사님에게 목적지에 도착하면 알려 주시라 부탁했다. 기사님은 운전석 뒷자리에 앉아 기다리라 하셨지만, 그마저 미심쩍었는지 버스가 설 때마다 창에 붙어 있는 버스 노선도의 정류장을 하나씩 손가락으로 꼽고 있었다. 걱정과 달리 나의 첫 버스 여행은 즐겁게 마무리됐다. 추억이랄 것도 없는 오래전 기억이 이렇게 생생한 걸 보면 그날 얼뜨기의 걱정이 어지간히 컸나 보다.

그 얼뜨기가 요즘 열두 살이라면 어떨까? 스마트폰을 꺼내 들고 친구 주소를 검색하지 않을까? 지금 위치에서 그곳까지 ‘길찾기’ 단추를 누르면 어디에서 무엇을 타고 어디에서 내려야 할지, 그곳까지 요금은 얼마인지, 내려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걸어가야 할지 손가락 터치 몇 번으로 모두 알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 정보들은 어른들에게 전해 듣는 모호한 정보가 아니라 명확하게 개념과 숫자로 정리돼 있으며, 신뢰도도 매우 높다.

책방을 통해 만나게 된 청소년들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대체로 어른들보다 더 좋은 능력치를 갖고 있다. 손안에 쥔 스마트폰의 이 앱과 저 앱으로 종횡무진 오가며 당장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모으고, 여러 정보를 비교해 빠르게 선택하고 만족스럽게 처리한다. 스마트폰을 단지 도구가 아니라 뇌의 일부처럼 활용하는 디지털 네이티브를 지켜보면 그들이 확실히 우리와 다른 방식으로 필요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세대가 문제의 해답을 찾는 과정이 먹잇감의 발자국과 냄새를 따라 산을 넘고, 강을 건너 추적하는 이리떼를 연상케 한다면 디지털 네이티브가 해답을 찾는 과정은 하늘 높이 날아올라 땅을 주시하다 순식간에 활강해 먹잇감을 낚아채는 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속도와 효율성이라는 면에서 이리떼의 사냥이 매의 사냥을 이길 수는 없을 것 같다. 날마다 무수한 정보가 만들어지고, 누구나 그 정보에 연결할 수 있는 시대에 ‘검색-선택’ 방식의 사고는 점점 잦아질 것이다. 하지만 ‘검색-선택’의 방식이 놓치기 쉬운 것이 있다. ‘비판적 사고’와 더불어 ‘서사’, ‘맥락’, ‘과정’ 같은 것들은 살펴보기에 지루할지 몰라도 우리 생각을 인간답게 만드는 핵심 단어들이다.
2022-07-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