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택수 시인·노작홍사용문학관장
A: 부동산이야말로 시대정신이며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문학의 리얼리티라는 점에서 오늘의 술자리가 좌담회 형식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오래전 동가식서가숙하면서 마라도 창작촌에 머물기 위해 제주에 간 적이 있는데, 이중섭의 방에 들렀다가 부끄러워 혼이 난 적이 있습니다. 1.5평이었더군요. 그 가난한 방에서 가장 드넓은 우주가 탄생했던 겁니다. 그 방에 ‘소의 말’이라는 화가의 시가 붙어 있었는데 정신이 번쩍 들더군요.
B: ‘삶은 외롭고/서글프고 그리운 것/아름답도다 여기에/맑게 두 눈 열고/가슴 환히/헤치다’라는 구절이 떠오릅니다. 맞아요. 우리 시대의 타워팰리스가 1.5평의 맑은 두 눈을 어찌 알겠습니까.
C: 지난가을 베스트셀러를 낸 선배 소설가의 집들이에 갔는데 모과가 굴러다니고 있더라구요. 제가 눈독을 들이니까 향이 나지 않아 버릴까 했는데 가져가라고 그러더군요. 제 6.78평 원룸에 들어오니까 웬걸, 향이 그렇게 짙을 수가 없는 거예요. 집이 너무 넓어서 모과 향을 맡을 수 없었던 거였죠. 모과를 그렇게 외롭게 만드는 건 슬픈 일입니다.
A: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는 자유인을 ‘오달만’(odalmann)이라고 한다는군요. 오달만은 토지를 몰수당하거나 매각해도 소멸될 수 없는 권리를 갖고 있어요. 만일 내가 토지를 팔면 그 토지와 나의 관계는 단절되고 맙니다. 하지만 오달만은 달라요. 설령 남에게 팔아넘겼다 해도 반드시 언젠가는 되찾을 수 있습니다. 화가의 작품이 다른 사람의 손에 넘어가더라도 그 제작자는 그대로인 것과 같지요. 건물과 땅을 판다고 하더라도 그 장소에 밴 고유한 체취와 분위기, 노래와 이야기, 추억은 도무지 팔 수가 없는 거죠. 근대의 소유권 개념으론 이해할 수 없는 이 ‘오달만’의 세계를 우리는 참조해야 합니다.
B: 무엇보다 게을러질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마르크스의 말대로 부르주아 사회에서 게으름은 더이상 영웅적이지 않아요. 하지만 우리의 꿈은 늘 역방향을 향해 진화해 오지 않았던가요. 얼마 전 내 집 마련을 위해 맞벌이를 하는 부부가 방에 아이를 가둬 놓고 출근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 아이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 옵니다. 이 도시에서의 게으름은 하나의 윤리이고 권리이고 선언입니다. 주 52시간을 더 줄이지는 못할망정 해괴한 논리로 흔드는 정책은 반윤리적인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C: 이 시대의 낯선 리얼리즘으로 ‘부동산 시학’을 창간하고 싶습니다. 수많은 문학 잡지가 있는데 불가능한 이야기일까요?
취중에 모두가 공감, 잡지는 구비문학의 형태를 지향하기로 했다. 판형과 디자인은 그때그때 술집의 분위기가 대신할 것이었다. 공기가 인쇄소와 제본소 역할을 할 것이었으며, 허공이 영업망을 뚫고 매대를 확보할 것이었다. 그들은 편집동인 체제가 갖기 쉬운 폐쇄성을 벗어나기 위해 정기 구독자와 후원자를 어떻게 확보할까를 궁리했고, 신인상을 제정하되 반드시 무주택자여야 한다는 투고 조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러나 모임 뒤 창간호를 끝으로 ‘부동산 시학’은 곧 폐간되고 말았다. 실은 그들 모두 내 집 마련의 꿈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않았던 것이다.
2022-06-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