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볼 것 많다고 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고 볼 것 없다고 말하기는 싫다. 더 싫은 건 있는 것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때다. 최근 경북 문경의 활공장에서 이런 절벽 같은 상황을 접했다.
문경 활공장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반인에게 개방된 장소였다. 차를 몰아 올라가면 문경의 산하가 시원스레 펼쳐졌다. 활공장은 대부분 이런 곳에 자리 잡기 마련이다. 멋진 풍경 보자고 패러글라이딩을 하는 것이니 당연한 노릇이다. 그런데 몇 해 전 문경시와 패러글라이딩 체험 업체 등이 일반인의 출입을 막기 위해 차단기를 설치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패러글라이딩 동호인 등 활공장을 이용하는 소수의 사람들만 수월하게 드나들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런 빼어난 풍경을 왜 일부 사람들만 보고 즐기라는 건지 당최 이해가 되지 않는다.
무슨 권리로 일반인의 출입을 막느냐고 따졌더니 업체 측은 “활공장을 문경시로부터 임대해 쓰고 있고, 최근 일부 사진작가들이 활공장에서 자리싸움을 벌이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여서 차단기를 세웠다”고 했다. 기가 막힐 노릇이다. 모두가 함께 쓸 수 있는 길을 작은 사달을 핑계 삼아 자신들의 입맛대로 막아도 된다는 독선이 차단기 너머로 아른거렸다. 활공장을 전용해 쓸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치자. 그럼 활공장 주변만 막으면 될 것이지 거기까지 가는 수㎞의 길을 막는 건 대체 무슨 권리인가.
이에 대한 문경시 담당자의 이야기는 이랬다. 좁은 길을 오가다 보니 사고 위험이 높고, 관광객의 소행으로 보이는 산불도 발생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업체에 출입 관리를 위임했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국민을 어린아이로 보지 않나 싶다. 국민이 교행할 줄도 모르고 실수로 산불이나 내는 사람들이라는 걸까. 교행이 불편하면 군데군데 도로 한쪽을 넓혀 교행 공간을 확보하면 될 일이다. 또 산불이 걱정된다면 국내 유명 산들은 죄다 통행을 금지시켜야 하지 않겠나.
충북 단양에도 활공장이 두 곳 있다. 그중 하나에 얼마 전 카페가 들어섰다. 직접 패러글라이딩을 즐기는 이들도 찾지만, 그보다는 경치를 즐기며 사진을 찍거나 호쾌한 패러글라이딩 장면을 보려는 관광객들이 더 많이 찾는다. 단양의 활공장 역시 문경처럼 오르는 길은 좁고 산불의 위험도 늘 있다. 문경과 다른 점은 사람들이 찾을 수 있는 쪽으로 먼저 가닥을 잡고, 그로 인해 빚어질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것이다.
한국엔 못 하는 것이 참 많다. 가려면 막고, 뭘 하려 해도 막는다. 그런 것들이 여행의 욕구를 꺾는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관광과 레저 관련 산업들이 제대로 성장할 리 없다. 올해 출국자 수가 입국자 수의 2배에 이르고 여행수지 적자 규모가 최악일 것이라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온다. 중국의 한국 관광 제재와 북한발 정세 불안이 큰 요인이다. 그런데도 있는 것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내 나라의 좋은 경치를 국민이라면 누구나 접할 권리가 있다. 이건 관광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정의의 문제다. 일부의 이익을 위해 혹은 관리가 어렵다고 무조건 막는 게 능사가 아니다. 청컨대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부터 먼저 열어 두시라. 그래야 선순환이 생긴다.
angler@seoul.co.kr
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무슨 권리로 일반인의 출입을 막느냐고 따졌더니 업체 측은 “활공장을 문경시로부터 임대해 쓰고 있고, 최근 일부 사진작가들이 활공장에서 자리싸움을 벌이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여서 차단기를 세웠다”고 했다. 기가 막힐 노릇이다. 모두가 함께 쓸 수 있는 길을 작은 사달을 핑계 삼아 자신들의 입맛대로 막아도 된다는 독선이 차단기 너머로 아른거렸다. 활공장을 전용해 쓸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치자. 그럼 활공장 주변만 막으면 될 것이지 거기까지 가는 수㎞의 길을 막는 건 대체 무슨 권리인가.
이에 대한 문경시 담당자의 이야기는 이랬다. 좁은 길을 오가다 보니 사고 위험이 높고, 관광객의 소행으로 보이는 산불도 발생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업체에 출입 관리를 위임했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국민을 어린아이로 보지 않나 싶다. 국민이 교행할 줄도 모르고 실수로 산불이나 내는 사람들이라는 걸까. 교행이 불편하면 군데군데 도로 한쪽을 넓혀 교행 공간을 확보하면 될 일이다. 또 산불이 걱정된다면 국내 유명 산들은 죄다 통행을 금지시켜야 하지 않겠나.
충북 단양에도 활공장이 두 곳 있다. 그중 하나에 얼마 전 카페가 들어섰다. 직접 패러글라이딩을 즐기는 이들도 찾지만, 그보다는 경치를 즐기며 사진을 찍거나 호쾌한 패러글라이딩 장면을 보려는 관광객들이 더 많이 찾는다. 단양의 활공장 역시 문경처럼 오르는 길은 좁고 산불의 위험도 늘 있다. 문경과 다른 점은 사람들이 찾을 수 있는 쪽으로 먼저 가닥을 잡고, 그로 인해 빚어질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것이다.
한국엔 못 하는 것이 참 많다. 가려면 막고, 뭘 하려 해도 막는다. 그런 것들이 여행의 욕구를 꺾는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관광과 레저 관련 산업들이 제대로 성장할 리 없다. 올해 출국자 수가 입국자 수의 2배에 이르고 여행수지 적자 규모가 최악일 것이라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온다. 중국의 한국 관광 제재와 북한발 정세 불안이 큰 요인이다. 그런데도 있는 것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내 나라의 좋은 경치를 국민이라면 누구나 접할 권리가 있다. 이건 관광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정의의 문제다. 일부의 이익을 위해 혹은 관리가 어렵다고 무조건 막는 게 능사가 아니다. 청컨대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부터 먼저 열어 두시라. 그래야 선순환이 생긴다.
angler@seoul.co.kr
2017-08-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