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충남 태안의 안면도를 찾았을 때 일이다. 한 중년 남성이 다가와 음식점 홍보 전단지를 건네며 찾아 주길 청했다. 유명 관광지니 그러려니 했다. 한데 그가 건넨 말이 다소 의아했다. 다른 식당보다 게국지 값이 싸고 맛있다는 것이었다. 맛이야 그렇다 쳐도 값이 싸다는 건 선뜻 이해가 안 됐다.
알고 있기로는, 게국지는 원래부터 저렴한 음식이었다. 지금도 서산 일대에 가면 1만원이 채 안 되는 가격에 푸짐한 반찬 곁들여 내는 집들이 있다. 그런데 뭘 더 저렴하게 팔겠다는 것일까. 그리고 얼마나 이문을 남기겠다고 전단지까지 만들어 돌리는 걸까.
꽃지해변 인근의 식당에 들어가고 나서야 의문은 풀렸다. 게국지가 어지간한 매운탕 값과 비슷하거나 더 비싼 음식으로 변해 있었다. 그러니 그렇게 홍보에 열을 올리는 것도 당연해 뵌다. 물론 음식값은 오를 수 있다. 문제는 음식의 내용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는 변화가 아닌 변질이라 해야 할 것이다.
게국지는 충남 서산, 태안 등에 전해 오는 토속 음식이다. 게장 국물이나 해산물 국물을 넣은 김치, 또는 게장 국물에 묵은지와 우거지 등을 넣고 끓인 찌개를 일컫는다.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조리법은 대체로 비슷하다. 이 일대 갯마을에서는 예부터 게장을 자주 담가 먹었다. 게장에서 건더기를 건져 먹은 뒤 남은 국물을 보관했다가 다시 게장 만들 때 썼다.
꽃게 등으로 여러 차례 게장을 담근 국물 속에는 이런저런 영양소들이 자연스레 녹아들었다. 이 게국에 김장하고 남은 배추와 시래기, 묵은지, 떨어진 게다리 등을 넣고 끓여낸 것이 게국지다. 먹거리가 부족했던 시절, 특히 식재료가 곤궁했던 겨울철에 요긴한 음식이었다.
토속 음식이란 게 사실 맛과는 거리가 멀 수 있다. 쓰고 남은 식재료를 그러모아 만든 음식이 맛이 있다 한들 얼마나 있겠나. 추억과 정서를 얹어 그저 한 끼 요기하면 만족할 음식이다. 경북 일대 해안에 전해 오는 생선 느리미, 포항의 모리국수 등에 담긴 정서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인근 식당에서 마주한 게국지는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꽃게 한 마리를 통으로 쓰고, 새우와 조개 등을 푸짐하게 넣어 매콤하게 끓여냈다. 추억과 정서는 음식물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게국지는 그렇게 풍성하게 끓여내는 음식이 아니다. 그런 레시피라면 차라리 꽃게탕이나 해물탕이라고 불러야 옳다. 이 일대 음식점에서 파는 게국지 역시 엄밀히 말해 꽃게탕이거나 해물 매운탕이었다. 물론 값싼 게국지를 여러 그릇 파느니, 비싼 재료를 써서 비싼 값에 파는 게 훨씬 많은 이문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게국지가 아니잖은가.
음식이 변화하는 것을 탓할 수는 없다. 한데 게국지는 좀 다르다. 추억으로 먹는 음식이다. 정확히는 ‘소울 푸드’에 가깝다. 그걸 ‘호화판’ 꽃게탕으로 만드는 세태가 안타깝다. 이제 이 일대 음식점에서 옛 게국지를 먹기는 힘들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나면 게국지 맛의 정의 역시 꽃게탕 비슷한 것으로 변화될 터다. 그렇게 한 시대를 우리 곁에 머물렀던 음식이 사라지는 게 못내 아쉽다.
angler@seoul.co.kr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꽃지해변 인근의 식당에 들어가고 나서야 의문은 풀렸다. 게국지가 어지간한 매운탕 값과 비슷하거나 더 비싼 음식으로 변해 있었다. 그러니 그렇게 홍보에 열을 올리는 것도 당연해 뵌다. 물론 음식값은 오를 수 있다. 문제는 음식의 내용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는 변화가 아닌 변질이라 해야 할 것이다.
게국지는 충남 서산, 태안 등에 전해 오는 토속 음식이다. 게장 국물이나 해산물 국물을 넣은 김치, 또는 게장 국물에 묵은지와 우거지 등을 넣고 끓인 찌개를 일컫는다.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조리법은 대체로 비슷하다. 이 일대 갯마을에서는 예부터 게장을 자주 담가 먹었다. 게장에서 건더기를 건져 먹은 뒤 남은 국물을 보관했다가 다시 게장 만들 때 썼다.
꽃게 등으로 여러 차례 게장을 담근 국물 속에는 이런저런 영양소들이 자연스레 녹아들었다. 이 게국에 김장하고 남은 배추와 시래기, 묵은지, 떨어진 게다리 등을 넣고 끓여낸 것이 게국지다. 먹거리가 부족했던 시절, 특히 식재료가 곤궁했던 겨울철에 요긴한 음식이었다.
토속 음식이란 게 사실 맛과는 거리가 멀 수 있다. 쓰고 남은 식재료를 그러모아 만든 음식이 맛이 있다 한들 얼마나 있겠나. 추억과 정서를 얹어 그저 한 끼 요기하면 만족할 음식이다. 경북 일대 해안에 전해 오는 생선 느리미, 포항의 모리국수 등에 담긴 정서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인근 식당에서 마주한 게국지는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꽃게 한 마리를 통으로 쓰고, 새우와 조개 등을 푸짐하게 넣어 매콤하게 끓여냈다. 추억과 정서는 음식물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게국지는 그렇게 풍성하게 끓여내는 음식이 아니다. 그런 레시피라면 차라리 꽃게탕이나 해물탕이라고 불러야 옳다. 이 일대 음식점에서 파는 게국지 역시 엄밀히 말해 꽃게탕이거나 해물 매운탕이었다. 물론 값싼 게국지를 여러 그릇 파느니, 비싼 재료를 써서 비싼 값에 파는 게 훨씬 많은 이문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게국지가 아니잖은가.
음식이 변화하는 것을 탓할 수는 없다. 한데 게국지는 좀 다르다. 추억으로 먹는 음식이다. 정확히는 ‘소울 푸드’에 가깝다. 그걸 ‘호화판’ 꽃게탕으로 만드는 세태가 안타깝다. 이제 이 일대 음식점에서 옛 게국지를 먹기는 힘들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나면 게국지 맛의 정의 역시 꽃게탕 비슷한 것으로 변화될 터다. 그렇게 한 시대를 우리 곁에 머물렀던 음식이 사라지는 게 못내 아쉽다.
angler@seoul.co.kr
2017-06-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