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호국’에 대한 짧은 생각들/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호국’에 대한 짧은 생각들/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6-08 17:58
수정 2016-06-09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행을 떠날 때 ‘밝은’ 장소를 찾기 마련이다. 예쁘고 아름다운 관광지, 활기 넘치는 축제장 등을 주로 찾아간다. 한데 ‘어두운’ 장소를 돌아보는 여행도 있다. 참사 현장, 전쟁 유적지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이를 ‘다크 투어리즘’이라고 부른다. 여행의 즐거움을 포기하면서까지 어두운 장소를 찾아가는 것엔 분명 이유가 있다. 다시는 불행한 사건이 반복되지 않도록 스스로 다짐하기 위해, 더 나아가 아픔을 공유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통한의 장소를 직접 찾는 것이 무엇보다 유효하기 때문일 터다.

그런 점에서 며칠 전 다녀온 경북 칠곡은 ‘다크 투어리즘’의 의미와 목적에 딱 맞는 여행지였다. 칠곡은 예부터 크고 작은 전쟁이 잦았던 곳이다. 낙동강을 끼고 있는 비옥한 도시라 그랬다. 한국전쟁을 겪으면서는 ‘호국의 성지’로 부각됐다. ‘낙동강 전투’ ‘다부동 전투’ 등을 통해 패전의 위기를 딛고 반전의 기틀을 다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왠지 찾아가는 발걸음이 가볍지 않았다. 목에 작은 가시가 걸린 듯한 묘한 거리낌, 근원을 알 수 없는 긴장감이 뒷덜미를 낚아채고 있는 듯했다. 국립4·19민주묘지 같은 곳을 찾을 때는 분명 이런 느낌이 아니었을 것이다. 고백하자면 이런 거다. 이런 장소를 찾는 게 어딘가 ‘보수’ ‘우익’ 등의 단어로 상징되는 곳을 찾아간다는 생각이 들었던 거다. 이를 자기 검열이라 해도 좋겠다.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때 전적기념관 등을 방문하는 건 그리 흉이 되지 않는다. 한데 대학생이 되고, 머리가 무거워질수록 호국, 보훈 등의 이름을 내건 곳들을 방문하는 걸 꺼리게 된다. 이렇게 이중적일 수 있나. 시점만 다를 뿐 같은 장소인데 말이다.

원인를 꼽자면 모두의 역사를 마치 제 것인 양 만들려는 이들 탓이 크다. 좌우를 불문하고 이념을 자신들만의 생존 도구로 이용하려는 이들 말이다.

오래전 전북 무주 적상산의 피나물 꽃과 관련된 기사를 쓴 적이 있다. 꽃잎은 샛노란데, 줄기를 자르면 핏물처럼 붉은 액체가 흐른다는 들꽃이다. 당시는 세월호의 비극으로 나라 전체가 슬픔에 빠졌을 때였다. 적상산을 노란빛으로 물들인 꽃들을 보면서 세월호에 휩쓸린 어린 넋들이 생각났고, 그 느낌을 그대로 적었다. 한데 기사에 달린 댓글 몇 개가 가슴을 후벼 팠다. 요약하면 당신 따위가 왜 그 아픔을 운운하느냐는 거다. 세월호의 아픔은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만 공유해야 한다는 독선, 잘 알지 못하는 세계의 사람에 대한 막연한 적개심이 글 전체에서 읽혔다.

계급을 타파하자고 외치는 이들이 외려 층위 나누기를 즐긴다. 세상엔 흑과 백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들의 뒤에 어른거리는 독선의 그림자를 보는 경우도 흔하다. 따지고 보면 지역을 이용하는 자들보다 이념을 이용하는 자들이 더 나쁘다.

사람 됨됨이를 판단하는 기준이 지역일 수 없듯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건 이념이 아니라 이념에서 비롯된 행동들이다. 그런데 왜 꽃 같은 젊은 넋들의 절규가 담긴 곳을 쭈볏대며 찾아야 하는가. 호국 보훈의 달에 드는 생각이란 게 겨우 이 모양이다. 뭔가 단단히 잘못됐다.

anlger@seoul.co.kr
2016-06-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