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 체육부 선임기자
돌아보면 체육단체 통합준비위가 ‘반쪽’으로 출범했던 지난해 6월부터 기자의 마음속에 늘 똬리를 틀었던 물음이었다. 그래서 다른 기자들이 통준위 위원들이나 문화체육관광부 간부들에게 같은 질문을 던질 때 특히 온 신경을 집중해 들었다. 그때마다 추상적이기만 한 “체육행정 시스템의 선진화”와 같은 답이 돌아왔다. 수단이 목표로 둔갑한 느낌이었다. 문체부 출입 기자들마저 짧은 시간 설득할 수 있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고 피부에 와 닿는 설명에 못 미쳤다.
지난 15일 다른 일로 만난 문체부 당국자는 “(통합체육회) 등기가 21일쯤 나와 모든 절차가 마무리될 것 같다”고 말했다. 홀가분하다는 표정으로 “이제부터 모든 책임은 대한체육회가 지고 알아서 하시면 된다”고 덧붙였다.
며칠 전 만난 한 종목단체 간부의 하소연이 겹쳐졌다. “힘있는 곳에서 지도 위에 점을 찍어 놓고 ‘여기로 와라’ 하니까 따라간다. 종목별로 사정이 천차만별인데 획일적으로 5대5 통합해야 한다며 시한을 정해 놓고 군사작전하듯 하고 있다. 월 200만원의 정부 지원금이 아쉬워 쫓아가는 곳도 있고….”
오는 27일 통합체육회 창립총회를 앞두고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 산하 종목 단체나 지방 조직들을 통합하는 데 긍정적인 비전을 전파해 이끄는 방식보다 불이익을 주겠다고 위협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학습이 잘된’ 체육단체들을 몰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체부에서 여러 단체 간부들을 불러 설명하는 자리가 있었다. 한 단체 간부가 조리 있게 범죄자 취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자 당국자가 “그러길래 잘하셨어야죠”라고 대꾸했다는 얘기도 들려온다.
사실 상급 단체 통합보다 뿌리와 같은 종목 단체와 지방 조직들의 통합 과정에 갖가지 갈등과 혼란이 터져 나올 개연성이 더 높다. 일부에서는 ‘위장결혼’이라며 그 끝은 ‘협의이혼’일 것이라고 자조한다. 인력과 예산 등에 대한 견해차 때문에 엘리트 선수, 동호인, 나아가 국민은 안중에도 없이 집안싸움에 몰두할 가능성도 있다.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의 예산 집행 권한도 빼앗아 종목 단체나 지방 조직들을 컨트롤하고 있다. 체육단체 통합에 반발하는 이들을 굴복시키는 ‘무기’로 전용했다는 얘기까지 나돈다. 비리가 적발된 종목 단체들이 벌이는 꿈나무 육성과 같은 지속돼야 할 사업에 대한 지원마저 끊어 애꿎은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
엘리트 체육의 문제점을 들춰 내고 생활 체육에로 정책의 무게를 옮기겠다는 것인데 이런 일도양단식 정책은 앞으로 더 커다란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문체부가 큰 산을 넘었다고 안주하게 되면 이런 자잘하고, 오히려 국민들 실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 더욱더 우리 체육의 근간을 갉아먹게 될 것이다. 그래서 걱정된다.
bsnim@seoul.co.kr
2016-03-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