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미술인들은 ‘그’가 아무리 현대미술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인물이라도 한국 미술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알 수는 없는 법이라고 강한 거부감을 표한다. 김 장관이 밀어붙이는 대로 외국인이 관장이 된다고 치자. 한국 미술의 발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조직을 이끌어 가는 데 가장 중요한 소통 문제는 어떻게 할 건지 의문이다. 통역을 대동하면 된다고 할지 모르지만 그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 세금으로 부담해야 한다.
문화에 국경이 무의미해진 글로벌 시대에 외국인 관장 논의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한마디로 난센스라는 반응이다. 격년제로 열리는 유명 비엔날레의 예술감독은 국적을 논하지 않는 게 관례처럼 돼 있고, 외국의 유명 사립미술관도 관장을 외국에서 영입하는 것이 다반사다. 하지만 한 국가와 국민의 문화 정체성을 다루는 국립미술관의 관장으로 타국적인을 들이는 것은 극히 드물다. 문화 종주국으로서 확고부동하게 자신이 있는 나라이거나, 그 반대로 적임자를 갖지 못한 문화 후진국에서나 있는 일이다. 불행히도 우리는 후자에 가깝다. 그걸 정부에서 자초하고 있으니 더욱 안타까운 현실이다. “우리 정신문화의 거점 기관을 외국인에게 맡기는 일은 정신문화를 자발적으로 식민지화하는 것이며, 대한민국이 지금도 서구 문명권을 추종하는 후진 국가임을 전 세계에 공표하는 일”이라는 한 미술평론가의 비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우리 문화예술인들의 자존심을 뭉개면서 외국인 관장을 모셔 오는 것은 정부의 문화 사대주의적 발상이라고밖에는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비단 미술뿐 아니다. 예전과 달라서 각 분야에 뛰어난 인재들이 많이 포진해 있음에도 무조건 외국인을 모셔 오는 경우를 문화 현장에서 접하고 있다. 소설가이자 작가인 알랭 드 보통이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의 예술감독을 맡아 특별전을 기획했다. 어디까지 그가 관여했는지는 모르지만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보통은 “비엔날레 관계자들이 런던에 찾아와 직접 부탁했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국립오페라단에서 하는 ‘진주조개잡이’ 공연의 경우 연출부터 의상, 무대, 조명까지 모두 외국인들이 맡고 있다.
이름이 알려진 외국인을 쓰면 당장에는 홍보 효과와 함께 공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우리 문화계의 발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직도 마찬가지다. 이 사람은 이래서 안 되고, 저 사람은 저래서 안 된다고 외국인을 임용하면 우리에게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렇다고 고질적인 미술계 파벌 문화가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인재는 발굴하고, 키워지는 것이다. 그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진정 문화 융성을 원한다면 문화 사대주의부터 버려야 한다.
2015-10-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