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충당금 vs 손실 폭탄… 저축은행 ‘부동산 PF 딜레마’

무거운 충당금 vs 손실 폭탄… 저축은행 ‘부동산 PF 딜레마’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4-05-14 18:31
수정 2024-05-15 06: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차 부실 정리’ 2000억 펀드 조성
업계 “역부족… 1조는 돼야 숨통”

이미지 확대
저축은행 연체율-17면
저축은행 연체율-17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저축은행업계가 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지만 업계의 고민은 깊어지는 모양새다. 펀드 규모가 업계 전반의 숨통을 틔우긴 역부족인 가운데 2금융권 입장에선 충당금 부담과 경·공매 시 손실 문제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14일 PF 대출 취급 상위 저축은행과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2차 부실채권 정리펀드’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도 2000억원의 채권을 매각할 예정이다.

이번 펀드는 22개 저축은행이 참여해 200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당초 예상 금액인 1640억원에서 확장된 규모다. 앞서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9월 330억원 규모로 1차 펀드를 조성해 지난 3월 5개 사업장에 집행을 완료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참여 저축은행 확대와 3·4차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경·공매 활성화와 자체 상각 등으로 부실자산을 조속히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정상화 펀드는 반갑지만 중소형 저축은행 부담까지 덜기에는 규모가 역부족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2000억원이라는 펀드 규모가 저축은행이 보유한 PF 사업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규모가 너무 작다. 1조원은 돼야 숨통이 트일 것”이라며 “중소형 저축은행일수록 부실채권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아 사업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펀드의 혜택을 받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추가적으로 충당금을 쌓을 여력이 없는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결국 경·공매로 PF 사업장을 매각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예상 최대 손실액은 4조 8000억원에 이른다.

업권별로 PF 정상화 펀드가 잇따라 조성되면서 일단 부실 사업장 정리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향후 추가적인 펀드 조성도 예상되고, 다른 업권에서도 정상화 펀드가 나오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금융사들은 충당금 부담이 가중돼 경·공매가 활성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4-05-15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