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 쌓인 저축 100조… 소비 밑천·집값 거품 ‘양날의 검’

코로나 때 쌓인 저축 100조… 소비 밑천·집값 거품 ‘양날의 검’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7-25 02:24
수정 2023-07-25 02: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 2020~22년 가계 분석

방역으로 소비 줄고 지원금 받아
금융·IT 대기업 호황에 자산 축적
대출 상환보다 예금·주식 등 보유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은 3년간 우리 가계가 이전보다 100조원 이상을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가계는 이 같은 초과저축으로 소비 및 대출금을 갚는 대신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으로 쌓아 둔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같은 가계의 초과저축이 민간 소비 둔화를 막을 수 있는 반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 집값을 높이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2년 우리나라 가계 부문의 초과저축액은 101조~129조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됐다. 한은은 초과저축을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으로 정의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2015~19년) 평균 7.1%였던 가계저축률은 팬데믹 기간(2020~22년) 평균 10.7%로 크게 증가했다.

가계 부문에서 100조원이 넘는 초과저축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예년과 같은 소비를 할 수 없었던 데다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각종 지원이 더해진 덕분이다. 또한 팬데믹 기간에 호황을 누린 금융·IT산업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크게 늘면서 고소득층이 초과저축을 할 수 있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다만 우리나라 가계는 초과저축을 소비에 쓰는 경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 등 주요국에서는 가계가 팬데믹 시기 쌓아 둔 초과저축으로 ‘보복소비’에 나서면서 내수가 활성화돼 경제를 지탱한 것과는 대조되는 대목이다. 2020~22년 사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4.6%로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7~19년(3.6%)보다 높아, 초과저축을 끌어오지 않고도 가계의 물가부담을 완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졌음에도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는 오히려 증가한 것에 비춰 가계가 초과저축으로 대출금 상환에 적극 나서지 않았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가계는 초과저축을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2020~22년 중 우리 가계의 금융자산은 1006조원 증가해 2017~19년(59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한은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쌓여 있는 초과저축은 실물경제에서 민간소비의 하방 리스크를 낮출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주택시장으로 쏠리면서 주택가격을 높이고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가로막아 금융 불안정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2023-07-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