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신종자본증권…커지는 ‘자금경색 시즌 2’ 공포

얼어붙은 신종자본증권…커지는 ‘자금경색 시즌 2’ 공포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03-22 18:04
수정 2023-03-23 08: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S사태 후폭풍’ 신종자본증권
돌아오는 콜옵션 행사 가능 시점
보험사 2분기 상환 추정액 2.1조
은행, 고위험기관 신규거래 중단

이미지 확대
크레디트스위스. EPA 연합뉴스
크레디트스위스. EPA 연합뉴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가 발행한 22조원 상당의 신종자본증권이 휴지 조각이 되면서 국내에서도 자금경색 공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그간 건전성 지표 악화를 막기 위해 신종자본증권 등을 찍어 냈던 보험사들의 콜옵션(조기상환권) 행사 가능 시점이 몰리는 올 2분기가 고비가 될 전망이다.

22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2분기 보험사의 신종자본증권·후순위채 조기 상환 추정액은 2조 1132억원으로 1분기 1400억원, 3분기 1조 100억원, 4분기 1조 1078억원 등 다른 분기보다 1조원 이상 많다. 오는 4월 23일은 한화생명의 10억 달러(약 1조 308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기일이고, 5월 21일은 KDB생명이 2018년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콜옵션 시점이다.

특히 KDB생명을 두고 제2의 흥국생명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흥국생명은 지난해 11월 콜옵션 행사를 포기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채권시장이 발작하자 이를 번복한 바 있다. 흥국생명은 모회사인 태광그룹의 긴급 수혈로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었다.

KDB생명은 상황이 다르다. 대주주 산업은행이 KDB생명 매각을 위해 시장에 내놓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당초 올해 1분기까지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2분기 거래 종결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KDB생명 인수에 본격적으로 나선 곳은 없다.

지난해 3분기 기준 KDB생명의 자본 총계는 6077억원이다. 이 중 신종자본증권이 2129억원으로 35%를 차지한다. 별도의 유동성 지원이 없다면 차환 발행이 불가피한 상황인데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CS 사태 등 겹악재로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 최근 ABL생명도 후순위채 발행에 나섰으나, 수요 예측에서 전액 미매각이 나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이를 떠안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흥국생명 때 크게 덴 금융당국과 관계사들이 어떤 수를 써서든 콜옵션을 이행하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매년 수조원 규모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금융지주 및 은행들도 유동성 확보를 위한 비상대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KB국민은행은 추가 유동성 확보 방안 마련에 착수했고, 우리은행은 SVB 사태 이후 고위험군 금융기관과의 신규 거래를 일절 하지 않기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