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가 얼어붙고 값이 하락세에 접어든 가운데 내 집 마련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호재 등으로 급등했다가 올해 들어 급락세를 보이고 있는 경기 안양 지역 아파트 전경. 박윤슬 기자
이런 현상은 지난해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올랐던 수도권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 기준으로 지난해 아파트값이 33.11% 올랐던 인천 연수구는 올해 들어 이달 둘째 주까지 2.4% 빠지는데 그쳤다. 지난해 30.22% 폭등했던 경기 오산 아파트값도 올해 하락률은 2.62%에 불과하다. 지난해 19.68% 상승한 화성 아파트값도 올해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실제 하락률은 3.58%이다.
서울은 지난해 6.58% 상승했지만, 올해는 0.51% 하락에 그쳤다. 세종시는 지난해 0.68% 하락에 이어 올해도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5.4% 떨어졌다. 지난해와 상승폭과 상쇄 비교할 때 올해 들어 가격이 내려간 곳은 세종이 유일하다.
물론 개별 단지마다 지난해 최고가와 올해 최저가를 비교하면 20~30% 가격이 내린 곳도 많다. 화성 동탄2신도시 ‘시범한빛마을금호어울림’ 84㎡ 아파트는 지난달 6억 8000만원에 팔렸다. 지난해 8월 거래가 8억 5000만원과 비교하면 20% 정도 떨어졌다. 하지만 올해 평균 하락률은 지난해 상승률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아파트 매수 심리는 14주 연속 하락세를 띠고 있다. 지난 5월 첫주 이후 14주 연속 하락세로, 2019년 7월 8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여기에 올해 들어 가파른 금리 인상, 공급 확대 신호 등으로 매입을 서두르려는 심리가 약해졌다. 가격 거품이 많이 걷히지 않았다고 판단한 수요자들이 매입에 달려들지 않으면서 매도-매수인이 생각하는 가격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
이런 영향을 받아 거래는 실종 수준이다. 국내 최대 아파트 단지인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9510가구)에서 올해 상반기 거래 건수는 30건에 불과하다. 잠실 파크리오(6864가구) 단지 역시 상반기 손바뀜은 27건에 그쳤다. 급매 물
건이 쌓여가면서 몇 천만원 가격을 낮게 내놓아도 반응은 시큰둥하다.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지난해 최고가격 대비 최근 거래가격만 비교하면 하락 폭이 큰 것 같지만, 최근 2년 동안 아파트값이 워낙 많이 올라 이를 상쇄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당분간 가격 하락과 거래 감소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