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집값 2% 상승… 전셋값은 6.5% 뛸 것”

“내년 집값 2% 상승… 전셋값은 6.5% 뛸 것”

류찬희 기자
입력 2021-11-04 17:58
수정 2021-11-05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설산업硏, 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
“집값 상승세 꺾이겠지만 전세는 강세”

이미지 확대
금융 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한 26일 한 시민이 경기도의 한 시중은행 앞에 내걸린 부동산담보대출 상품 광고 앞을 지나가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금융 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한 26일 한 시민이 경기도의 한 시중은행 앞에 내걸린 부동산담보대출 상품 광고 앞을 지나가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내년에 전국 집값(주택+아파트)은 2% 정도 오르는 데 그치는 반면 전셋값은 6.5%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주최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내년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내년 집값 상승세는 올해보다 꺾이겠지만 전셋값은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 같다”고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올해 전국 집값은 전국적으로 9.6%, 수도권은 12.3% 오르겠지만 내년 집값 상승률은 전국적으로 2.0%, 수도권은 3.0%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승세 둔화 근거로는 현재 가격이 고점에 이르러 추가 매수에 가격 부담을 안고 있다는 것을 들었다. 기준금리 인상 등 자금 조달 어려움과 3기 신도시 및 공공택지 주택 공급에 따른 기대 심리도 요인으로 꼽았다. 매매·전셋값 격차가 줄어 갭투자 및 매수 수요 욕구는 꾸준하지만 과거처럼 투자자들이 선뜻 주택 구매에 달려들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보유세·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보유 부담, 전세자금대출 거절에 따른 전세 수요 감소도 상승세 둔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전셋값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올해 전셋값 상승률은 전국적으로 6.8%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내년에도 이와 비슷한 6.5% 정도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전셋값 상승 근거로는 지난해 8월 도입된 계약갱신권 기간 만료를 들었다. 임대차계약 기한이 끝난 뒤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이미 상승한 전셋값에 맞춰 내놓으면서 하반기에 다시 전셋값 폭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파트만 놓고 보면 10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값은 12.5%, 수도권은 15% 올랐고 가격 상승률 하락 움직임도 아직은 미미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주택가격 상승률은 이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2021-11-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