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하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21일 발표한 ‘최근 우리 수출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하반기 이후 IT 경기 부진이 완화돼도 국가별 산업구조와 경쟁력 변화 등 구조적 요인 때문에 수출이 과거와 같이 큰 폭으로 반등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 약화에 따른 점유율 하락이 구조적 요인으로 꼽혔다.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봉쇄 조치가 이어진 지난해 4∼12월과 비교해 올해 1∼4월 줄어든 대 중국 수출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감소분의 65%는 중국 자체 수요 변화에 따른 ‘경기적 요인’으로 분석됐다. 35%는 중국 내 점유율 하락과 관련된 ‘경쟁력 요인’ 때문이었다.
보고서는 또 최근 한국 수출이 품목·지역별로 차별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 등 IT 품목이 큰 폭의 감소세지만, 자동차·선박 등 일부 비 IT 품목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대 수출 품목도 반도체에서 자동차(부품 포함)로 바뀌었다.
지역별로는 대중국·아세안 수출이 부진한 반면 대미국·EU(유연합) 수출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대미국 수출 비중은 올해 상반기 중 17.9%로 확대돼 2020년(20.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대중국(19.6%)과의 격차가 1.7% 포인트까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정 지역·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제와 기업은 대외여건 변화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출 다변화 유인이 높아졌다고 판단했다. 예를 들어 중국은 향후 소비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중간재에 평중된 대중 수출구조를 최종재 등으로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