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체감경기 부진 … 소비자심리만 ‘낙관’으로 돌아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수출 회복 불확실 … 소비 회복세 꺾일수도
[그래픽] 반도체 부진 영향…기업 경기 전망 소폭 ‘하락’
[서울=뉴시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업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6월 전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6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7월 업황전망BS은 전월(76)에 비해 1포인트 하락한 75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전월에 비해 1포인트 하락한 72로 전망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7월 업황전망BS은 전월(76)에 비해 1포인트 하락한 75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전월에 비해 1포인트 하락한 72로 전망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미국과 중국, 유로존 등 주요국의 제조업 역시 부진하며 글로벌 경기 침체의 그림자가 짙어지는 가운데 수출이 회복되지 못하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내수로 버틴 저성장’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고물가·고금리 속에 소비의 회복세마저 꺾일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소비심리만 회복하며 제조업-민간소비 간극 커져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3년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 BSI는 73으로 5월과 같았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 2월 63 이후 3월 70, 4월 70, 5월 73 등 느리게 상승하고 있지만 기준치(100)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 경기전망실사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긍정적이라는 의미다.
특히 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반도체 및 관련 업종이 포함된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이 7포인트 급락했다. 지난 2월에서 5월까지 상승세였으나 하락세로 돌아선 데 이어 다음달 업황전망BSI는 64로 이달보다 더 하락할 것으로 기업들은 예상했다.
주요 반도체 기업의 감산으로 수출 가격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꺾이면서 반도체 수출이 회복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한은은 밝혔다. 특히 반도체와 관련된 업체들의 체감경기가 악화되면서 중소기업의 업황 BSI는 4포인트, 수출기업은 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하루 전 발표된 ‘5월 소비자동향조사’와 대비된다. 한은에 따르면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0.7로 5월(98.0)보다 2.7포인트 오르며 지난해 5월(102.9) 이후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준치를 넘었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고 기준금리가 내릴 것이라는 전망 속에 고물가·고금리 속에서도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주요국 제조업 부진은 글로벌 경기 침체 전조 … 수출 회복 더딜수도
6월 1∼20일 수출 5.3% 증가, 10개월 만에 증가
6월 1∼20일 수출 5.3% 증가, 10개월 만에 증가
(부산=연합뉴스) 강덕철 기자 = 21일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6월 중순까지 수출이 반도체와 대(對)중국 수출의 부진에도 1년 전보다 5% 늘며 10개월 만에 증가를 기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6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8억9천5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3% 늘었다. 2023.6.21
kangdcc@yna.co.kr
(끝)
(부산=연합뉴스) 강덕철 기자 = 21일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6월 중순까지 수출이 반도체와 대(對)중국 수출의 부진에도 1년 전보다 5% 늘며 10개월 만에 증가를 기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6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8억9천5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3% 늘었다. 2023.6.21
kangdcc@yna.co.kr
(끝)
그러나 수출 개선을 낙관하기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미국과 유로존, 중국 등 주요국의 최근 부진한 제조업 지표는 글로벌 경기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은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신규 주택판매와 내구재 주문, 소비자신뢰지수 등 소비 관련 지표는 호조를 나타냈다.
중국은 제조업 PMI는 4월과 5월 두 달 연속 50을 밑돌아 ‘위축’ 국면인 반면 소매판매만 10%대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같은 성장세도 한풀 꺾였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제조업 경기가 다시 꺾인 것은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영향”이라면서 “3분기에도 주요 중앙은행들이 통화 긴축 강도를 높이면서 전반적인 가계의 소비 여력은 더욱 약해지고, 글로벌 경기를 이끌어왔던 서비스 경기마저 둔화되기 시작하면 글로벌 경기 둔화 속도는 한층 가팔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내수로 버틴 저성장’글로벌 경기 둔화는 우리나라의 수출 회복세를 더디게 할 수 있다. 여기에 고금리·고물가가 이어지며 소비의 회복세마저 꺾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분기 수출(-4.6%)과 설비투자(-4.0%) 등이 감소했으나 민간 소비가 0.5% 증가하며 경제성장률(0.3%)은 역성장을 면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2023년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금리 인상 여파로 인한 이자 상환 부담과 부동산시장 부진, 물가 불확실성 등으로 소비의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